[뉴스포커스] 중남부 오가는 '홍길동 장마'…이상기후로 고통받는 지구촌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늘 새벽 경북 영주에서 산사태로 주택이 붕괴해 14개월된 여아가 매몰됐다가 끝내 숨졌습니다.<br /><br />올해 장맛비는 중부와 남부를 오가는 일명 '홍길동 장마'로 전국이 비상에 걸렸습니다.<br /><br />오늘도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와 함께 무더위가 이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중국 역시 폭염 아니면 폭우로 극단적인 날씨가 반복되며 지구촌 곳곳이 이상기후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들, 김승배 한국자연재난협회 본부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이번 주 화요일 밤부터 수요일 오전 사이 호남과 경남 남해안에 기록적인 폭우가 내렸는데요. 광주의 경우 한 달 치 비가 하루 만에 내린 셈이라고 합니다. 지난 일요일부터 장마가 시작된 건데, 장마 시작부터 이렇게 강한 폭우가 쏟아지는 게 정상적인 현상인가요? 원인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폭우가 쏟아진 광주·전남의 경우, 올봄은 50년 만에 최악의 가뭄이었다가 장마가 시작하자마자 갑자기 쏟아진 폭우로 인명피해까지 발생했습니다. 몇 달 사이에 가뭄과 홍수가 일어나는 극단적인 현상, 역시나 이상기후 때문일까요? 대책은 없겠습니까?<br /><br /> 원래 장마라는 것은 기존에는 남쪽부터 시작해 장마 기간동안 북쪽으로 서서히 올라왔던 것 같은데요. 이번에는 하루 차이로 장맛비가 중부와 남부 등 전국을 오가고 있습니다. 이번 장마를 두고 '홍길동 장마'라고 부르기도 하던데, 장마의 형태가 바뀐 건지, 과거에도 이런 적이 있었나요? 이런 현상이 왜 일어나는 건가요?<br /><br /> 올해 엘니뇨 현상으로 수증기가 한반도로 대량 유입되면서 우리나라의 강수량이 늘어날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. 장마 기간이 늘어나게 되는 건지, 아니면 국지성 폭우로 하루 최대 강수량을 경신하게 되는 건지, 어떻게 예상하시나요?<br /><br /> 어제 수도권 대부분에 비가 내리면서 한때 호우주의보가 내려졌는데요. 동작구 상도동의 경우 반지하 주택이 또 잠기기도 했다고 하는데요. 이제 장마 시작인데, 벌써 침수가 생겼다는 건 장마에 대한 대비를 하지 않았다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지난해 서울 도심이 홍수 피해가 커지면서 많은 대책들이 나왔는데요. 대심도 터널을 만드는 것은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하지만, 우리가 단기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홍수 대비책들이 있지 않습니까?<br /><br /> 보통은 장마가 7말8초 여름휴가를 기점으로 끝났던 것 같은데요. 지난해를 떠올려 보면 8월에도 폭우와 같은 집중호우가 장마처럼 길게 쏟아졌던 것 같은데, 올해도 8월에 집중호우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까?<br /><br /> 오늘 새벽 폭우로 경북 영주에 산사태가 발생하면서 주택 1채가 토사에 매몰됐고 집 안에 있던 14개월된 여아가 결국 숨졌습니다. 주변에 산을 끼고 있는 주택이나 펜션 등에서 조심해야 할 점이 있다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?<br /><br /> 이상기후로 인한 기상 이변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닌데요. 중국의 경우 남부 지역에는 비 피해가, 북부에선 강풍과 폭염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고 하는데, 중국은 대륙이 워낙 크니까 날씨가 다를 수 있는 것도 같은데, 과거에는 없었던 현상인가요?<br /><br /> 중국의 날씨가 우리나라의 기상 현상과도 연관이 있을 것 같습니다. 현재 중국의 폭염이 우리나라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 건가요?<br /><br /> 캐나다 곳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번지고 있는 대형 산불 여파로 미국 중서부가 이틀째 미세먼지에 뒤덮였다고 합니다. 대기질 수준이 어느 정도로 심각한 건가요?<br /><br /> 우리나라에서도 캐나다 산불 진화를 돕기 위해 긴급구호대를 파견하기로 했다고 하는데요. 산불로 인해 발생한 연기와 오염 물질이 유럽을 지나 북극해까지 도달했다는 자료도 있더라고요. 어느 정도 산불이길래 북극해까지 여파가 있는 건가요?<br /><br /> 산불로 인한 오염물질이 북극 지역의 만년설과 얼음을 녹일 가능성이 크다고 하는데요. 산불 연기가 대기질뿐만 아니라 빙하까지 녹일 정도로 위험한 건가요?<br /><br /> 내일까지 비가 내리고 당분간 전국적으로 폭염이 찾아온다고 하는데요. 내일 서울의 낮 기온이 34도까지 올라간다고 하더라고요. 열대야도 이미 시작이 됐는데, 장마 속 폭염에는 어떤 대비를 해야 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